본문 바로가기
일상/공부

[ 지구과학1 ] 01. 판구조론의 정립과정

728x90
반응형

#판구조론의 정립과정

대륙이동설 > 맨틀대류설 > 해양저확장설 > 판구조론


대륙이동설


대륙이동설의 등장

(1) 17세기 초, 대륙이동에 대한 의견: 남미-아프리카 해안선 유사 > 한 덩어리에 분리되어 나온 것이 아니냐

(2) 1912년 베게너의 대륙이동설

 

베게너의 대륙이동설

(1) 고생대 말, 판게아 형성> 2억 년 전(중생대) 분리/이동 > 현재의 수륙 분포

* 판게아: 고생대 말~중생대 초에 존재했던 하나로 뭉쳐진 대륙 덩어리(초대륙)

(2) 증거

해안선 모양의
유사성
-고지리학적 증거
-대서양을 사이에 두고 남아메리카 동해안과 
아프리카 서해안의 해안선 유사 
-특히 수심 500m선은 굉장히 일치
해안선 모양의 유사성
빙하의 흔적 분포 -고기후학적 증거
-떨어진 대륙을 하나로 모으면 빙하의 흔적이 판게아 모형의 남극을 중심으로
 분포 
*빙하의 흔적: 중력에 의해 빙하가 내려오며바닥을 긁은 흔적
빙하의 흔적분포
화석분포의
연속성
-고생물학적 증거
-여러 대륙에서 동일한 종류의 고생물 화석
* 메소사우르스: 고생대 육상 파충류

* 글로소프테리스: 고생대 육상 양치식물
화석분포의 연속성
지질구조의
연속성
횡압력 > 산맥형성
-현재 북미(애팔레치아 산맥)와 유럽(칼레도니아 산맥)의 산맥 지질구조가 유사
지질구조의 연속성

(3) 한계: 대륙이동의 원동력을 설명 X


맨틀대류설


맨틀대류설

(1) 1928년 홈스

(2) 방사성 원소의 붕괴열 > 맨틀의 상하부 온도차 > 맨틀 대류 > 대륙이동

-방사성 동위 원소: 원자핵이 불안정해 다른 원자핵으로 변하는(붕괴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방출

-암석권, 연약권, 부분 용융 등의 개념이 없었음

 

맨틀대류와 대륙의 이동

(1) 맨틀대류의 에너지원

-고온의 지구 중심부에서 맨틀로 공급되는 열

-방사성 동위 원소의 붕괴열: 일부 동위원소는 불안정해 다른 원소로 변하며(붕괴) 방사선 방출

(2) 홈스의 맨틀 대류 모형

 

홈스의 맨틀대류 모형

-맨틀 물질 상승: 맨틀 물질 발산 > 대륙 분리 > 새로운 해양과 섬 형성

-맨틀 물질 하강: 지각이 맨틀 속으로 들어가고 해구와 산맥 형성

(3) 한계

-현재 맨틀대류과정과 비슷하나 맨틀대류를 확인할 수 있는 탐사 기술이 없었음

=> 탐사 가능 이후 대류 상승 부분에서는 해령, 하강 부분에서는 해구가 형성됨을 확인 => 판 구조론 정립에 중요한 역할


해양저확장설


해저지형의 탐사

(1) 배경

-20세기 중반 탐사 기술의 발전 > 해저 지형 탐사 활발

-음향 측심 기술 개발 > 해저 지형의 높낮이를 정밀하게 측정 가능

(2) 음향측심법

-방법

  •  해양 탐사선에서 초음파 발사
  •  해저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
  •  초음파의 속력(물속에서 1500m/s)을 이용해 수심을 알아냄
  • d = 1/2vt   (수심 d, 초음파의 속력 v, 초음파의 왕복시간 t)

 

해저 지형

해저지형
대륙붕
육지와 접해 있는 부분, 수심이 얕고 경사가 완만한 해저 지형
대륙사면
대륙붕에서 심해저 쪽으로 비교적 경사가 급한 해저 지형
대륙대
대륙 사면에서 심해저로 이어지는 부분에 위치, 경사가 완만
해구
대륙 주변부와 심해저 평원사이에 발달, 수심 6000m 이상의 좁고 긴 골짜기
심해저평원
대륙대나 해구와 해령 사이에 있는 수심 약 4000m의 평탄한 지형, 해저 지형의 대부분
해산
심해저 평원에서 해저 화산 활동에 의해 생성된 산 정상부가 편평한 해산은 평정해산(기요)
해령
심해저에서 2500-3000m 높이로 솟아 있는 대규모 해저 산맥, 정상부에 열곡 발달
열곡
V자 열곡, 해령 가운데에 발달한 골짜기
 

해령, 해산, 화산섬 구분

해령 해산 화산섬
해령과 가까워질수록 수심이 서서이 얕아짐 해산주변: 평탄
해산: 수심 급격히 변화
해산이 물위로 노출

 

해양저확장설

(1) 1962년 헤스와 디츠, 해저 지형 특징 설명을 위해 주장

-해령: 새로운 해양지각이 생성되어 해양저가 확장

-해구: 해양 지각이 맨틀로 섭입 되어 소멸

(2) 증거

-해양지각 연령분포와 퇴적물의 두께

-고지 자기 역전 줄무늬의 대칭분포 – 바인, 매슈스

-섭입대에서 지각변동

-열곡과 변환 단층의 발견

 

해양지각 연령분포와 퇴적물의 두께

(1)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것

=> 해양지각 연령, 퇴적물 두께, 퇴적물 최하층 연령, 수심

*수심이 깊어지는 이유: 해령부근 지각의 밀도가 낮아 부피가 커 부풀어있음!

(2) 해령을 기준으로 대체로 대칭

해령의 대칭분포

 

고지자기 역전 줄무늬의 대칭분포

고지자기

-암석에 남아 있는 암석 생성 당시의 지구 자기

-마그마 냉각/퇴적물 퇴적: 자성 광물은 당시 지구 자기장의 방향에 따라 배열

 

지자기 역전

-지구 자기장의 역전 현상, 외핵의 운동에 의해(추정)
-지자기 역전 주기 25만 년~30만 년 / 현재 정자극기, 역전 시 역자극기

 

고지 자기 줄무늬

-해령을 축으로 대칭으로 나타남
-해령에서 새로운 해양지각이 형성되어 양쪽으로 확장
-정자극기에 생성된 암석과 역자극기에 생성된 암석이 반복적으로 나타남

-해양저 확장 속도 ∝ 고지자기 역전 줄무늬 폭(기간이 일정하지 않아 폭이 다름)

 

 

섭입대에서 지각변동

(1) 해구에서 판의 섭입이 나타나며, 해양지각이 소멸 

*해양지각의 연령: 해구에서 소멸되므로 약 1억 8천만 년 이상 된 암석이 거의 없음

(2) 섭입대를 따라 지진 발생: 해구에서 대륙 쪽으로 갈수록 진원의 깊이가 깊어짐

*베니오프대

해양판-해양판/해양판-대륙판이 만나서 생성되는 해구로부터 밀도가 큰 판이 지각(혹은 맨틀) 속으로 섭입 할 때 두 판의 경계면

베니오프대 사진

(3) 해양저 확장설에서 해양 지각의 소멸을 설명하는 증거

 

열곡과 변환 단층의 발견

(1) 열곡: 해령 중심부, 해양저가 확장되며 해령 중심부에 생긴 V자 모양 골짜기

(2) 변환단층: 해령과 해령 사이 존재하는 단층

-해령은 끊어져 존재, 해령에서 해양 지각이 양쪽으로 확장되는 속도가 위치에 따라 달라 발생

-해저가 해령 중심으로 양쪽으로 확장한다는 증거가 됨

-해양저 확장설이 판 구조론으로 발전하는 데 큰 영향

열곡과 변환 단층, 단열대

*참고: 단열대는 판의 경계가 아님!


판구조론


판구조론

(1) 지구 표면은 여러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지진, 화산활동 등의 지각변동이 일어난다

=> 대륙이동설~해양저확장설의 이론과 증거 정리, 총체적 설명

*최근: 위치측정기술(by인공지능) 발달 > 판 경계의 위치, 이동속도 정밀 측정 가능

 

암석권과 연약권

암석권과 연약권
암석권(판)
-지각+상부맨틀, 약 70~100km
-해양판: 해양지각을 포함하는 판
-대륙판: 대륙지각을 포함하는 판
-해양지각: 현무암질 암석, 약 5km, 밀도 큼 -대륙지각: 화강암질 암석, 약 35km, 밀도 작음
연약권
-암석권 아래 약 100km~400km인 부분 -맨틀물질 부분 용융 > 맨틀 대류 > 판의 움직임

 

판 경계의 종류

발산형경계

-두 판이 서로 멀어지고, 맨틀대류 상승
-새로운 해양판(지각) 생성
-해령, 열곡 형성  [ex)동태평양 해령, 대서양 중앙 해령]
-천발지진, 화산활동O(현무암질) *대륙판-대륙판 발산 시; 해양판, 열곡이 생기고 바다가 만들어 질 수도 있음

 

 

 

수렴형경계

-두 판이 서로 가까워지고, 맨틀대류 하강
-밀도가 큰 판이 밀도가 작은 판 아래로 섭입

-해양지각이 해령에서 생성 > 시간이 흘러 해구 근처로 가면 밀도 커짐 > 섭입, 해양지각/해양판 소멸

 

1) 충돌대:대륙판-대륙판 수렴
-대륙판: 밀도가 작아 판의 섭입, 소멸X

-충돌; 강한 횡압력 → 습곡산맥 형성 [ex)히말라야 산맥]
-천발/중발지진, 화산활동X
*유문암질 마그마가 생기나 지각을 뚫고 나오지X
*실제로 대륙판-대륙판은 밀도가 작아 파고들어 섭입하지 않음

 

2)섭입대
[대륙판-해양판의 수렴]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로 섭입

-해구, 습곡 산맥(가끔 호상열도) 형성
[ex)습곡: 안데스 산맥, 호상열도: 일본열도]
-천발/중발/심발지진, 화산활동O(주로 안산암질)

[해양판-해양판의 수렴]
-밀도 큰 해양판이 작은 해양판 아래로 섭입
-해구, 호상열도 형성
-천발/중발/심발지진
-화산활동O(현무암질/안산암질)
*해구 옆에는 무조건 호상열도나 습곡산맥이 있음
 
 
 
 
3) 보존형 경계

-두 판 서로 어긋남
-판의 생성, 소멸 X
-변환단층 생성 [ex)산 안드레아스 단층]
-천발지진, 화산활동X
*마그마 생성 자체가 X

 

 

 

 


세계 주요 판의 경계


세계 주요 판의 경계

 


 

반응형